풍력발전 '실없는 녹색성장'…국내 실정선 효과 신통찮아
쏘니
0
5,172
2009.04.20 14:16
2009.04.19 <세계일보>
정부와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신재생에너지와 관광자원 확보 차원에서 시행 중인 풍력발전 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해 12월까지 국내에 146기의 상업용 풍력발전기가 가동 중인데, 정부는 232㎿ 풍력발전량을 2020년까지 200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풍력발전량이 일정치 않은 탓에 전기 품질이 상대적으로 나쁘고 급격한 풍력발전 증설은 전기 수급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
19일 본지가 전력거래소와 전문가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국내에서는 바람이 일정치 않아 전체 풍력발전량이 들쭉날쭉한 것으로 드러났다.
2007년 1월1일 오전 1시 국내 풍력발전 총생산량은 29㎿였는데, 같은 날 오후 9시 생산량은 1㎿에도 못 미쳤다. 20시간 사이에 29배 이상 차이가 발생한 셈이다. 또 2005년 7월1일 오전 7시의 풍력발전 생산량은 3㎿였지만 같은 날 오후 9시에는 34㎿로 차이가 심했다. 풍력발전량이 이렇게 들쭉날쭉하면 에너지 공급원으로선 낙제점이다. 여기에 풍력발전의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전력계통에 혼선을 가져와 기존의 화석연료 발전시설 감소에도 기여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다.
지난 3월12일 제주전력거래소가 풍력발전 변동성이 계통전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25분간 시험한 결과, 풍력발전의 변동폭(9.7㎿)이 제주 전력 총수요량 변동폭(9.0㎿)보다 커 법정 주파수 유지 범위를 131초나 벗어났다. 즉 25분 동안 2분이 넘게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 전력 수급에 차질을 준 것이다.
제주전력거래소 현길주 부장은 “풍력발전은 고장이 잦고 바람이 불지 않으면 멈추는 경우가 많아 연계선에 과부화를 일으켜 전력계통에 부담을 주고 있다”며 “풍력발전시설이 더 들어서면 예비전력 비축을 위해 발전기를 추가 설치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도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울릉도에 설치된 500㎾급의 소형 풍력발전기가 울릉도 전체 전력을 끊은 적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바람이 없어 풍력기가 꺼질 때마다 대신 돌아야 하는 LNG발전기에 과부화가 걸렸기 때문이다.
한국녹색회 이승기 정책실장은 “풍력은 바람의 변동에 의지하기 때문에 아무리 많은 풍력발전기가 생겨도 바람이 초속 4m 이하 또는 25m 이상이면 자동으로 가동이 멈춰 원자력?화력발전소 설립 계획을 축소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풍력발전 효율성이 지극히 낮은 것도 문제다. 지식경제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2006?2020년)에 따르면 태양광발전의 실효 용량은 설비 용량의 30%인 반면 풍력발전은 10%에 불과했다.
풍력발전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도 미흡하다. 기존 화석연료 발전시설 감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오히려 산림이 파괴되기 때문이다. 지식경제부는 2020년 2000㎿ 풍력발전 시설이 들어설 경우 이산화탄소 감축량을 묻는 질문에 “계산해본 적이 없다”고만 답변했다.
녹색연합 서재철 녹색사회국장은 “산림은 ha당 연간 10?15t의 산소를 생성하고 10?20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며 “풍력발전기를 세우면 이처럼 소중한 산림이 파괴될 수밖에 없어 무늬만 ‘녹색성장’인 대표적 사례가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장원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