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적은 태안서 해상풍력!…고정관념 깨다
CHRIS
0
6,796
2008.08.18 12:41
[매일경제 2008년 8월 18일 월요일]
태안화력발전소로 유명한 충남 태안군 일대는 최근 신재생에너지 메카로 변모했다. 가로림만 인근 태안화력은 그동안 석탄에서 나오는 연기를 내뿜었지만 태안군은 이제 태양광 태양열 해상풍력 지열 바이오디젤 등 5가지 신재생에너지를 중점 생산하게 된다. 최근 종합에너지특구로 지정된 태안군 원북면과 이원면 일대 1800만㎡에서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나오는 순간발전용량은 오는 2012년까지 124㎿. 총공급분량만 11만가구에 달해 단일 신재생에너지 단지로서는 국내 최대다.
태안군이 신재생에너지단지로 주목받으면서 국내 기업들도 태안으로 달려가고 있다.
LG그룹 계열사인 LG솔라에너지가 지난달 태안에 국내 최대 태양광 규모인 14㎿급 발전소를 준공했다.
주목할 점은 해상에 40개 풍력발전기를 세우겠다는 태안군 방침이다.
해상풍력을 통해 연간 32만6000㎿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다. 대관령이나 제주와 달리 태안에는 바람이 많지 않아 풍력이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졌던 고정관념을 해상풍력을 통해 여지없이 깨버린 것이다.
한 에너지문제 전문가는 "이명박 대통령이 오는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로 늘리겠다는 방침은 지자체 특성에 맞는 신재생에너지 육성계획과 기존 틀을 뛰어넘는 새로운 도전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밝혔다.
대통령까지 나서 대한민국의 비전이 신재생에너지에 있다며 방점을 찍은 것은 그간 우리 정부가 신재생에너지에 얼마나 소홀했는지를 역설적으로 말해준다.
지난 1988년부터 2007년까지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에 투자한 비용은 5597억원으로 놀랄 만큼 적다. 같은 기간 민간에서 투자한 돈은 3581억원으로 다 합쳐도 1조원이 안 된다.
정부는 올해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에 전년 대비 60% 증액한 1944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올해 예산에서 신재생에너지 사업비 등을 포함한 예산은 5300억원 규모로 전년보다 1000억원이 늘었지만 여전히 배고픈 수준이다.
2006년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1차 에너지 대비 2.24%로 덴마크(15.7%) 프랑스(5.7%) 독일(4.6%) 미국(4.4%) 일본(3.0%) 등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
정부도 신재생에너지는 아직 타 에너지원에 비해 경제성이 낮기 때문에 민간주도 시장 창출에는 한계가 있어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함을 알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에너지위원회는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확대와 보급 촉진을 위해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법(에특회계)'과 전력기금을 통한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예산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체 신재생에너지믹스(에너지원별 비중)를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지도 중요한 변수다.
전문가들은 태양광발전으로 에너지 비중을 1% 높이는 데 현재 설비 기준으로 무려 60조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면적도 문제다. 역시 태양광으로 1%를 높이려면 서울시 면적의 3분의 1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와 태양광보다 여러모로 훨씬 효율적인 획기적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오는 10월 중 '3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을 내놓고 폐기물, 수력, 풍력, 바이오, 태양광 및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등 에너지믹스를 구체적으로 그려보기로 했다.
2006년 기준 신재생에너지믹스는 폐기물 76.1%, 수력 16.6%, 바이오 5.3%, 풍력 1.1%, 태양열 0.6%, 태양광 0.2%, 지열 0.1% 순이다. 일단 오는 2011년까지 폐기물 의존도를 56.5%로 낮추는 대신 풍력(9.8%), 바이오(7.9%), 태양광ㆍ태양열(각 2.6%) 등의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이달 말 확정될 예정인 2030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도 예산 대비 효과가 큰 바이오디젤과 폐기물 연료 등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고 태양력, 풍력, 수소연료전지 등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핵심분야를 중심으로 신성장 산업화가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