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공사, 해외자원개발 경쟁력 ‘거품’

새소식


석유공사, 해외자원개발 경쟁력 ‘거품’

이투데이 0 8,858 2007.11.23 14:50
[이투데이:  2007-11-23]
 
한국석유공사가 한국의 대표 자원개발기관으로서 성과가 턱없이 낮아 자생력에 의문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석유공사의 지난 2005년부터 올해까지 3년 동안 해외 탐사시추 결과 상업적으로 성공한 광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공사가 2005년부터 올해까지 총 1238억원을 투자해 해외 11개 광구를 탐사했지만 11개 광구 중 9개에서 실패를 확인했으며 나머지 2곳도 미지수이다.

2005년에 5개 광구, 2006년에 4개 광구, 올해 2개 광구 등 3년간 11개 광구를 탐사 시추했지만 9개 광구는 실패하거나 상업성이 미달했고 2개 광구만이 상업성 확인을 위한 천공 테스트 중이다.

특히 2005년 베넹 2-3광구의 경우 석유공사가 단독으로 개발하면서 시추비용으로 164억원을 투자했지만 아무것도 나오지 않은 건공으로 확인됐다.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에 투자한 규모를 살펴보면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에 8억달러 수준이었으나 외환위기 뒤 자원개발 사업기반이 급속히 붕괴되면서 1998~2002년 투자금액은 연평균 5억달러 수준으로 급감했다.

유가가 급등하는데도 투자 규모는 오히려 줄이면서 해외자원개발 분야에서 메이저급 석유회사와 거리가 더욱 멀어졌다.

또한 석유공사가 정부의 보조금을 줄이자마자 당기순이익이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공사의 2006년도 결산서를 보면 당기순이익이 1852억원으로 2005년 2794억원보다 942억7000만원이 감소하여 -33.73%나 급감했다.

공사가 대내외 경영여건을 반영한 새로운 전략목표인 ‘Challenge 20-50’ 즉 2015년까지 매장량 20억배럴, 영업이익 20억달러, 매출액 50억달러, 생산량 40만배럴의 목표 달성이 힘들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추진중인 2013년 자주개발률 목표와 석유공사를 일일생산량 30만배럴의 메이저급으로 육성한다고 했는데 이와 유사한 석유회사의 2006년도 평균 자본총계는 116억달러인 반면 석유공사의 유전개발부문은 12억달러로 1/10에 불과한 실정이다.

정부는 원유ㆍ가스 및 일반광물의 자주개발률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향후 10년간(2007~2016년) 모두 32조원의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10년간 지원할 수 있는 규모는 10조원 안팎에 불과하다.

석유개발기술인력도 2005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약 540여명에 불과한 반면 일본은 3500여명, 중국은 50만~60만명에 달해 기술력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또 지질조사ㆍ지구물리탐사 분야 등은 선진국 대비 70% 수준이고 석유가스개발 기술은 국내 유전개발 경험 부족으로 선진국 대비 40% 수준에 불과하다. 아울러 비재래형 화석연료(가스하이드레이트 등) 개발기술은 초보단계 수준이다.

미국의 대표적 석유산업 정보지 PIW(Petroleum Intelligence Weekly)는 지난달 한국석유공사에 대해 다루면서 자금조달 능력과 기술력 미흡으로 정부가 목표한 원유 생산계획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오는 2016년까지 국내 원유 수입의 28% 상당량을 국내 기업의 해외 생산에서 충당한다는 게 한국정부 목표지만 올해 원유 자주개발률이 4%선으로 전망돼 2008년 목표치인 10% 달성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PIW는 현재 한국 석유개발의 문제점으로 석유공사의 해외개발사업시 정부의 예산통제를 받아 추진이 어려운 점과 세계 메이저 기업의 절반수준에 불과한 기술력, 규모와 능력에서 세계 100대 에너지 기업에도 못 미치는 점 등을 그 근거로 꼽았다.

석유공사의 개발생산 부문의 기술력은 2004년도부터 동해-1 가스전에서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있지만 주요 개발·생산 기술을 선진국의 기술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자립도는 미미한 수준이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해외자원개발을 주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인별 맞춤식 기술교육, 현장형 기술확보를 위한 기술교육 방식 등을 다양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면서 “석유전문기업으로서 해외 메이저 수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자본금의 대폭 확충과 개발ㆍ생산광구의 인수합병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에너지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은 “해외자원개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원과 기술개발에 대한 집중을 통해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이투데이] 편영운 기자(yup@e-today.co.kr)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70 명
  • 오늘 방문자 2,527 명
  • 어제 방문자 3,580 명
  • 최대 방문자 15,497 명
  • 전체 방문자 3,527,276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