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구소 이재일 박사 “퇴적물 분석 통해 미래기후 예측도 가능”

새소식


극지연구소 이재일 박사 “퇴적물 분석 통해 미래기후 예측도 가능”

CHRIS 0 7,894 2009.01.08 15:16
[서울신문 2009년 1월 7일 수요일]

│킹 조지 박건형특파원│

“극지에서 채취한 퇴적물과 빙하코어는 과거 지구상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알려주는 확실한 자료입니다. 특히 과거를 아는 것은 물론, 과거 기후의 주기를 파악해 미래를 예측하는 일도 가능합니다.”
 
 
무려 22일 동안 드레이크 해협에서 퇴적물 채취를 하다 세종기지에 도착한 극지연구소 이재일(39) 박사는 무척 피곤한 모습이었다. 그는 “흔들리는 배 위에서 고생했지만 좋은 시료를 얻어서 뿌듯하다.”고 말을 시작했다.

지질을 전공한 이 박사는 현재 고(古)기후를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땅이나 바다 밑의 퇴적물 또는 빙하를 수직으로 뚫어 채취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후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그의 주 연구분야다.
 
이 박사는 “시료를 통해 화학이나 생물학적 변화, 이산화탄소량 변화 등을 측정해 그 당시의 기후를 짐작할 수 있다.”면서 “특히 퇴적물이 빨리 쌓이는 지역에는 수십년, 수백년 단위의 기후 변화도 기록돼 있다.”고 말했다. 최근 5년간 남극을 찾은 그는 지구온난화의 흔적을 실제로 느끼고 있을까. 이 박사는 “그렇다.”고 잘라 말했다. 지구는 끊임없이 빙하기와 간빙기를 번갈아 겪어왔지만 최근 들어서는 퇴적물을 통해 살필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의 축적속도가 과거 어느 때보다도 빠르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이 박사는 “실제로 미항공우주국(NASA)이나 미해양대기국(NO AA)의 위성사진만 봐도 동남극보다 서남극이 녹는 속도가 빠르고 북극에서도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북서항로와 북동항로가 동시에 열리는 등 극지가 따뜻해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면서 “이같은 극지의 변화는 중위도와 저위도 지역에서는 더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확실하게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박사는 극지를 중심으로 한 고기후 연구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재 수천년에서 수만년 단위로 측정되고 있는 기술적·시료적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조개껍데기를 분해해서 시료를 분석했다면 지금은 현미경을 통해서도 같은 작업이 가능할 정도로 기술이 발달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면서 “조금이라도 더 짧은 시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분석기술이 발달하고 시료가 채취되면 더 가까운 미래의 일을 예측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8 명
  • 오늘 방문자 280 명
  • 어제 방문자 455 명
  • 최대 방문자 15,487 명
  • 전체 방문자 3,053,68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