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지질 계통(최신의) 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묻고 답하기

이 게시판은 지질과학과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을 묻고답하기 위한 곳입니다.  '판구조론에 대해 알려주세요'와 같은 너무 포괄적인 질문이나 학교숙제는 대답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목적에 맞지 않는 글은 관리자가 글쓴이의 동의없이 삭제합니다.


한반도의 지질 계통(최신의) 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김종보 0 8,296 2002.09.16 21:27
안녕하십니까? 경북 예천 대창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을 공부하고 있는 교사입
니다. 한반도의 지질 계통 등에 대해 알고 싶어 글 올립니다.

1.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를 보면 다음과 같이 지질 계통명
이 서로 일치 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1) "경기 변성암 복합체"의 경우 "경기 변성암 복합체" 또는 "편마암 복합체"
또는 "경기 편마암 복합체"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2) 7차에 들어와서는 "계(System)"의 사용이 거의 줄어들었으나, "계"와 "누층
군(Supergroup)"을 혼용하고 있습니다.
3)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기(Period)"에 퇴적된 지층명에는 "계"라는 지층 단
위를 부여한다고 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제3계"와 "제3기층"을 혼
용하고 있습니다. (지층명연구위원회에 제시된 것도 "제3기층"이더군요.)
4) 마찬가지로 "세(Epoch)"에 퇴적된 지층명에는 "통(Series)"라고 붙여주어
야 되지 않나 생각됩니다. 지리학에서는 "충적층"이라 하더라도 지질학에서
는 "충적통"이라 해야 옳지 않나 생각됩니다.

2. 지각 변동의 명칭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1) 대보 조산 운동은 모든 교과서가 옳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2) 송림 변동과 불국사 변동은 송림 운동과 불국사 변동으로도 표현되고 있습
니다.

3. 한반도의 지체 구조구도 서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하나의 예만 들어보면 "영남 육괴"를 일부 교과서에는 "소백산 육괴"라고 표현
하고 있습니다.

4. 구조선에서 "추가령 지구대"는 "추가령 지구대" 또는 "추가령 열곡(대)"로
라 표현하고 있습니다. (지리학에서는 "추가령 구조곡"이라 기술합니다.

질문이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 위 각각의 경우 학계 차원의 통일된 용어를 알
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최근의 학계에서 합일된 지질 계통표와 지체 구조구를 가르쳐 주셔도 좋겠습니
다.
관련 논문을 알려 주시면 더욱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305 명
  • 오늘 방문자 819 명
  • 어제 방문자 621 명
  • 최대 방문자 15,487 명
  • 전체 방문자 3,087,60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