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2: 지표지질조사

묻고 답하기

이 게시판은 지질과학과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을 묻고답하기 위한 곳입니다.  '판구조론에 대해 알려주세요'와 같은 너무 포괄적인 질문이나 학교숙제는 대답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목적에 맞지 않는 글은 관리자가 글쓴이의 동의없이 삭제합니다.


Re^2: 지표지질조사

김정남 0 8,333 2003.12.11 11:10
토목분야의 예를 들면
주로 불연속면에 관련된 사항을 조사합니다

아시겠지만
불연속면은 단층, 층리, 엽리, 암맥, 부정합면, 절리 등
암반을 분리시키는 역할(지질재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에 관련된 사항들이지요

지표에
노두가 있는 곳은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으나
반면에 노두가 없는 곳은 목적한 곳에서 약간 거리가 있더라도
조사하여 자료를 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말 자료가 없을 경우 시추공에서 채취한 공내사진을 이용한 불연속면
자료를 취할 수 있습니다)

조사구역이 좁은 구역일 경우 그 구역에 한정될 수 있으나
넓은 구역일 경우에는 전체지역을 조사해야 겠지요

도로나 철도는 대개 노선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200여m정도면 가능할 것입니다

이것은 노선주변에 형성되는 사면과 관련해서 조사하는 사항이고
만약 지하에 터널을 개설한다면 지층경사를 감안한 구역이 조사구역에 포함되
어야 할 것입니다

조사스케일은 도로, 철도의 경우
작은 스케일(1/1,200)의 도면을 기본도로 하여 조사한 다음
보다 큰 스케일(1/5,000- 그 이상)에 이기하면 될 것입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불연속면에 대한 조사도 전체 자료만
취하지 턴키를 제외하면 지질도를 직접 작성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턴키공사도 일부업체에서만 시행)

아쉽게도
지표지질조사에 대한 조사비를 책정한 발주처가 많지는 않고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철도청과 도로공사 정도가 지표지질조사비를
책정해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스케일에 대해서 다시 언급드리면
스케일이 작은 곳에 대한 이해없이
전체구역을 표현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답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좋은 시간 되세요

:
:
: 유재무 wrote..
: : 평소 많은 도움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 : 지표지질조사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가 되지않아 문의코자 합니다
: :
: : 지표지질조사시 축척별로 1:50,000  1:25,000  1:5,000  1:1,000등
: :
: : 구분되어 있습니다
: :
: : 제가 궁금한 것은 축척별 조사내용의 차이입니다
: :
: : 막연히 상세조사가 아니라 어떤 조사사항이 어느 정도까지
: :
: : 조사되어야 한다는 기준은 없는 것인지?
: :
: :
: : 바쁘시더라도 자세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
: :        ^.^
:
: 지도의 축적에 따라 조사 내용이 딱히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략,  지
: 도에 표시 가능한 것은 모두 조사되어야겠지요.  예를 들면, 1:1,000의 경 우,
: 작은 규모의 암맥과 단층대와 같은 것들도 세세하게 표형할 수 있을 것입니
: 다. 하지만, 1:50,000의 경우는 이 모든 세세한 것들을 다 표현할 수는 없겠 지
: 요.  중요한 것은 지도 상에 표시가 그렇다는 것이지, 실제 지표지질 조사 시
: 이러한 조사사항이 생략될 순 없다는 점일 것입니다.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347 명
  • 오늘 방문자 858 명
  • 어제 방문자 621 명
  • 최대 방문자 15,487 명
  • 전체 방문자 3,087,64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