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 염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묻고 답하기

이 게시판은 지질과학과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을 묻고답하기 위한 곳입니다.  '판구조론에 대해 알려주세요'와 같은 너무 포괄적인 질문이나 학교숙제는 대답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목적에 맞지 않는 글은 관리자가 글쓴이의 동의없이 삭제합니다.


해수 염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손영관 0 8,254 2004.07.19 15:11
> 지질학과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바로 본론으로 질문하겠습니다.
> 지구 탄생이래 수차례의 빙하기가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수차례 이상의 빙하기가 있었습니다. 46억년 지구역사 중 마지막 0.5%에 해당하는 제4기 동안에만도 20여차례의 빙하기가 있었으니까요.
 
> 일단 태초에 지구의 대륙이 한덩이였다고 가설한 후...
> 제 1 빙하기 후 해빙기 동안에 얼었던 지축이 녹으면서 멘틀의 수축으로 인해 지축이 갈라진다는 가설이 생기면 신빙성이 있는지요?

태초에 지구의 대륙이 한덩이였다는 가설은 일단 신빙성이 없어 보입니다. 게다가 빙하가 녹으면서(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빙하의 냉기 때문에??) 맨틀이 수축할 가능성은 전혀 없어보이는군요. 빙하의 두께가 기껏해야 수 km 정도일텐데 그 냉기가 지하 수십 km까지 전달되어 2900 km 두께의 맨틀을 어떻게 수축시킬 수 있을까요? 그리고 맨틀이 수축하면 지각(지축이 아니라..)이 갈라지지 않고 오히려 주름이 생기거나 접히지 않을까요? 말라 비틀어진 대추처럼..

> 그리고 제 4 빙하기 이후의 잔제가 양극지방이고 지금 역시 해빙기중의 일부라는 가설을 새운다면 가능성이 있는지요..

제4빙하기라... 언제적 빙하기를 말하는 거죠?

> 그리고 소금은 잘 얼지 않는 다는 성격을 본다면 태초의 바다는 거의 민물과 같은 정도의 염도를 지니고 있었고, 빙하 후 해빙되는 동안 염성이 점점 생겨 지금과 같은 염도를 띄우게 된거라는 가설이 가능성이 있는지좀 묻고 싶습니다.

맹물이 얼었다가 녹으면 다시 맹물이 되겠죠. 마찬가지로 빙하도 녹으면 맹물이 될겁니다. 이 과정에서 어떻게 염성(염도 또는 염분함량이겠죠)이 점점 생길 수 있을까요?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63 명
  • 오늘 방문자 1,220 명
  • 어제 방문자 1,013 명
  • 최대 방문자 15,487 명
  • 전체 방문자 3,089,019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