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산방산은?

묻고 답하기

이 게시판은 지질과학과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을 묻고답하기 위한 곳입니다.  '판구조론에 대해 알려주세요'와 같은 너무 포괄적인 질문이나 학교숙제는 대답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목적에 맞지 않는 글은 관리자가 글쓴이의 동의없이 삭제합니다.


Re: 산방산은?

박정웅 0 8,178 2003.10.14 10:27
제주석이라는 단어는 상업적인 용어인 모양입니다.
보통 업계 즉 석재산업을 하는 분들이 쓰는 용어이지요.
지질학적 용어는 아니지요.
앞에서 지적하였듯이 제주에서 나오는 암석이라는 뜻으로 보입니다.

제주에는 현무암이 가장 많습니다.
유재영선생님의 답글에도 있듯이 현무암은 세계적으로 흔한 암석이지요.
현무암은 일반적으로 기공이 많이 있지만, 그렇지 않는 것들도 많이 있습니다.
특히 제주에는 그렇습니다.
지질학에서는 현무암도 화학조성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한답니다.

간단한 용어를 쓰면
기공이 많은 현무암은 다공질현무암, 기공이 없는 현무암은 괴상현무암이라고 하지요.

질문 중 산방산의 암석에 대해 말씀드리면, 현무암이 아니고 조면암입니다.
대부분의 조면암은 기공이 없고 치밀합니다. 화학조성이 조금 다릅니다.
제주도에서는 상당히 특이하게 보이는 암석이지요.
비슷한 암석은 한라산 정상에서도 나옵니다.

송창훈 wrote..
: 안녕하십니까?
: 저는 제주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에 재학중인 사람입니다
: 논문 주제를 제주석에 관하여 잡았는데 ...
: 여기저기 둘러봐도 제주석에 대한 정보는 정말 찾기 힘들더군요
: 내용들을 찾다보니 제주석이 세계적으로 귀한 현무암이라는 내용들이 간간히
: 나오는데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은 찾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 이런 자료가 있으리라고는 크게 기대는 하지 않지만 제주석이 타 지역의 현무
: 암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있었으면 합니다
: 그리고 제주의 현무암에도 지역과 땅속 깊이에 따라 돌의 색과 모양에 많은 차
: 이를 보이더군요
: 참고로 제주삼다수의 수공을 뚫으면서 나온 현무암들을 조각재료로 사용해보았
: 는데 정말 가지 각색의 돌들이 나왔습니다
: 물론 성분의 차이나 생성시기의 차이 등 여러가지 있겠지만 같은 현무암이 어
: 떻게 이렇게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 그리고 남제주군에 산방산이라는 관광지가 있는데 이부근의 돌은 기포가 하나
: 도 없는 돌도 있는데 이런 현무암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한번에 너무 많은 질문을 했네요 ^^
: 조사를 하다보니 궁금증만 더 배가 되는것 같네요 ^^
: 암튼 읽어주셔서 감사 하구요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379 명
  • 오늘 방문자 818 명
  • 어제 방문자 1,013 명
  • 최대 방문자 15,487 명
  • 전체 방문자 3,088,61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