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판은 지질과학과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을 묻고답하기 위한 곳입니다. '판구조론에 대해 알려주세요'와 같은 너무 포괄적인 질문이나 학교숙제는 대답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목적에 맞지 않는 글은 관리자가 글쓴이의 동의없이 삭제합니다.
Re: 부정합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박영도
일반
0
7,760
2001.05.27 14:37
아마도 말씀하시는 부정합이 순차층서학에서 이야기하는 sequence boundary와 비슷한 것이 아
닐까요? 또는 말씀하시는 부정합아래의 층을 condensed section이라고 하는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전공이 아니라서......
이청미 wrote..
: 인터넷에서 부정합과 관련된 글을 찾다가 우연히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하게 되었습니
: 다. 자료 출처는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입니다. 내용의 중간을 보시면 --상하 지층 사이
: 에 침식면이 없더라도 양자 사이에 오랜 퇴적의 정지가 분명히 인정될 수 있는 경우-- 이
: 런 말이 나오는 데요.. 실제로 부정합 면 사이에 침식면이 존재하지 않을 수 도 있나요??
: 아니면 여기에서는 단지 시간의 차이가 존재하면 부정합이라는 정의에 따라 그러한 경우
: 가 존재한다면에 대한 내용인지.. 답변 부탁 드립니다..
:
: 부정합(不整合)
: 새로운 지층이 낡은 지층 위에 침식면을 경계로 하여 겹치는 현상. 이 침식면을 부정합
: 면이라 한다. 부정합면의 하위에 있는 오래된 지층은 그보다 상위의 새로운 지층이 퇴적하
: 기 이전에 습곡(褶曲)되어 상위의 지층과 사교(斜交)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경사부정합
: (傾斜不整合:사교부정합)이라 한다. 한편 부정합면의 상하 지층이 거의 평행인 경우를 평
: 행부정합이라 한다. 아무튼 부정합은 지각의 일부가 융기되어 그 이전에 형성된 암석의 일
: 부가 침식되고, 그 뒤의 새로운 침강에 의하여 침식면 위에 새로운 지층이 퇴적함으로써
: 발생한다. 이 침식면 위에는 하위의 지층으로부터 유래된 침식력(浸蝕礫)으로 된 기저역암
: (基底礫岩)을 수반한다. 상하 지층 사이에 침식면이 없더라도 양자 사이에 오랜 퇴적의 정
: 지가 분명히 인정될 수 있는 경우도 넓은 뜻에서 부정합이다. 부정합은 부정합면 밑의 지
: 층 중, 가장 시대가 새로운 최상위 지층의 퇴적 후에, 또는 부정합면 위의 지층 중 가장
: 시대가 오랜 최하위 지층의 퇴적 전에 그 지역에 융기와 침강이 일어난 것을 나타낸다. 따
: 라서 이와 같이 융기와 침강을 일으킨 대규모적인 지각변동의 시기를 알아내는 유력한 단
: 서가 된다. 이 밖에 부정합은 대규모적인 지각변동을 수반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해류나 수
: 저(水底) 땅밀림과 같은 요인으로 수저의 퇴적물이 침식될 때에도 생기는 수가 있다. 이
: 경우에는 앞의 경우에 비하여 부정합에 의해 결여되는 지층의 두께는 작고, 따라서 그 결
: 여된 지층에 의하여 대표되는 퇴적의 시간간격은 훨씬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