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토양의 pH 측정

묻고 답하기

이 게시판은 지질과학과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을 묻고답하기 위한 곳입니다.  '판구조론에 대해 알려주세요'와 같은 너무 포괄적인 질문이나 학교숙제는 대답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목적에 맞지 않는 글은 관리자가 글쓴이의 동의없이 삭제합니다.


Re: 토양의 pH 측정

유재영 0 8,026 2001.05.22 18:46
"토양오염공정시험법"중 pH 측정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의: 이 것은 토양 공극 수의 pH 측정법이 아닙니다!!!)

제3장 제1절 제2항 시료의 조제방법에 따라 조제한 분석용 시료 5g을 달아 50㎖ 비이커에 취하
고 증류수 25㎖를 넣어 때때로 유리막대로 저어주면서 1시간 방치 후 pH 미터를 pH 표준액으
로 잘 맞춘 다음 깨끗하게 씻어 말린 유리전극 및 표준전극을 넣고 60초 이내에 읽는다.

주 (1) pH미터의 구조 및 조작법의 상세한 것은 pH미터에 따라 다르다. pH 11이상의 시료는 오
차가 크므로 알칼리에서 오차가 적은 특수전극을 쓰고 필요한 보정을 한다. 시료의 온도는 pH
표준액의 온도와 동일한 것이 좋다.

(2) 만약 올바른 수치가 나오지 않으면 표준전극의 미세구멍이 부분적으로 막힘을 나타낸다.
이것은 토양입자로 인하여 미세구멍이 막혔거나 초자막 주위에 염화칼륨 결정의 과다한 발생이
거나 포화 염화칼륨의 흐름을 억제하는 전극의 공기구멍의 부적당한 조정에 의하여 야기된다.
이들 문제는 주기적으로 공기구멍을 열어 주거나 증류수로 염화칼륨 결정을 세척하거나 포화
염화칼륨을 몇 차례 교환하거나 미세구멍이 있는 초자구가 약간 젖는 것같이 보일 때까지 고
운 금강사로 전극하단을 주의하여 가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다.

(3) 전극을 넣을 때 토양현탁을 만들어 주고 곧 넣어서 측정한다.

(4) 너무 오래 토양을 방치하면 미생물의 작용으로 탄산가스가 발생하여 pH를 낮추는 때가 있
다.

(5) pH(H2O)의 경우 토양용액의 pH와 근사한 치를 나타내어 토양반응과 작물생육과의 관계를
아는 것은 좋은 자료가 되나 토양염류의 농도가 높아지면 수치는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위에서 시료의 제조 방법이란 또 다음과 같이 나와 있군요 (사실은 흙을 그냥 푹 퍼서 시료로
해도 됩니다)

제 2 항 시료의 조제방법


1. 수은 이외의 중금속시험용 시료

각각의 채취지점에서 채취한 토양시료를 법랑제 또는 폴리에틸렌제 밧트(vat) 위에 균일한 두
께로 하여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장소에서 통풍이 잘 되게 헤쳐놓고 풍건시킨 다음, 나무망치
로 분쇄하여 눈금간격 2㎜의 표준체(10메쉬)로 체걸음한 시료를 각각 균등량(약 200g)씩 취하
여 사분법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석용 시료로 한다. 각각의 채취지점에서 채취한 토양시
료의 입자 차이가 크거나 밀도 차이가 있는 입자의 혼입으로 인하여 시료채취량에 오차가 발생
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토양시료 전부를 막자와 막자사발을 사용하여 분쇄한 다음 눈금간격
0.15㎜의 표준체(100메쉬)로 체걸음한 것을 분석용 시료로 한다.


2. 시안, 수은 및 유기물질시험용 시료

채취지점에서 채취한 토양시료에서 돌, 나무 등 협잡물을 제거한 후 분석용 시료로 한다. 다
만, BTEX 및 석유계총탄화수소시험용 시료는 제3장 제1절 제1항 2. 나. 시료의 채취 및 보관항
에 따른다.


제 3 항 분석용 시료의 함수율 보정

중금속시험용 시료로서 자연건조할 시간적 여유가 없이 긴급히 분석하여야 하는 경우와 유기인
화합물·폴리클로리네이트비페닐·시안·수은·페놀류·BTEX 및 석유계총탄화수소시험용 시료
는 분석결과에 대한 수분을 보정하기 위해 함수율을 측정한다. 함수율측정은 제3장 제3절 제2
항 수분측정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88 명
  • 오늘 방문자 1,121 명
  • 어제 방문자 734 명
  • 최대 방문자 15,487 명
  • 전체 방문자 3,090,951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