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rtH NET

차례 | 제 1장 | 제 2장 | 제 3장 | 제 4장 | 제 5장 | 제 6장 | 제 7장 |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 제 6장 수자원
 
  6-1. 수자원의 종류
  6-2. 수자원 개발과 이용
  6-3. 수자원의 오염
  6-4. 기후변화와 수자원
  6-보충 학습
  6-참고문헌

6-2. 수자원의 개발과 이용

    인간은 예로부터 물은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하고 이용해 왔다. 생명유지를 위한 먹는 물 확보 및 농업용수 개발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먼저 문명을 발전시킨 4대 지역이 모두 주요 하천과 인접하였다는 것은 이를 증명하고 있다(표 6-2-1). 또한 고대의 도시와 국가의 도읍들의 입지를 선정함에 있어 물의 원활한 확보 가능성이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었으며 우리나라 고대국가들의 수도는 한결같이 주요 하천을 끼고 있다. 또 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삼국시대 이전부터 보와 저수지(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 제천 의임제 등)를 조성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표 6-2-1. 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
문명인접 하천
메소포타미아 문명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
인더스 문명인더스 강
황하 문명황하강
이집트 문명나일강


    현대에 와서 수자원은 주로 음용,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로 개발·이용되고 있다. 특히 인구증가 및 산업발전에 따른 물 수요 증가는 각국 및 지구문명의 존망을 좌우할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그림 6-2-1).

그림 6-2-1. 인구증가 및 물수요 예측(네이버).


    60억명의 세계 인구가 전체 수자원의 약 54%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1/3이 상당한 물 부족 상태에 있다. 그런데 전문가들에 의하면 2025년이면 1990년대 보다 물 수요는 약 40%가 증가하여 향후 25년 이내에 세계 인구의 2/3이 물부족을 겪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건설교통부, 2001).

    물 이용형태로 보면 농업용수가 69%로 가장 많으며 공업용수 23% 그리고 생활용수가 8% 차지한다. 특별히 아프리카의 경우 농업용수 이용율이 88%로 매우 높다.

    우리나라는 2006년 기준으로 수자원총량 중 약 27%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지표수(하천+댐) 이용이 24% 그리고 지하수 의존율이 약 3%를 차지한다(그림 6-2-2). 전체 이용형태로는 생활용수가 23%, 공업용수 8%, 농업용수 47%이며 기타 유지용수로 75%가 이용되고 있다(표 6-2-2).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계절적 유량변화가 심하고 오염에 취약한 지표수 의존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림 6-2-2. 우리나라의 수자원 현황(국토해양부, 2007).


표 6-2-2. 우리나라 수자원 이용형태(국토해양부, 2007).


    우리나라에는 용수확보, 홍수조절 및 발전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위하여 다목적댐, 관개용댐, 용수전용댐, 홍수조절용댐과 수력발전용댐 등이 건설되었다(한국대댐회, 2010; 그림 6-6-3). 다목적댐은 생활, 산업,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홍수조절 미 수력발전도 한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15개 이상의 다목적댐이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그림 6-6-4). 관개용댐은 순수하게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건설된 댐으로 그 숫자가 만개가 넘고 있으며 그 규모는 천차만별이다. 용수전용댐은 주로 도시나 산업단지에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홍수조절용댐은 평화의 댐을 들 수 있다. 평상시에는 비워두었다 유사시에 물을 저장한다. 수력발전용댐은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건설된 것으로 원자력발전이나 화력발전에 비해 수력발전의 비중이 매우 낮다(한국대댐회, 2010).

그림 6-2-3. 우리나라 주요 댐의 분포(한국댐학회).


그림 6-2-4. 우리나라의 대표적 대목적댐인 춘천 소양강댐(야후).


    한편 수자원 확보 및 홍수조절을 위한 댐 건설이 우리나라에서 현재도 진행되고 있으나 이런 댐건설은 생태계 및 자연환경의 보전이라는 세계적 패러다임에 역행하는 일로 해외 선진외국에서는 오히려 건설된 댐을 허물고 다시 자연형 하천으로 돌리고 있는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평균적인 지하수의 이용비율은 13%로 낮지만 제주도와 같이 하천의 발달이 미약한 곳에서는 모든 용수를 거의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선진외국의 용수에 대한 지하수 의존비율은 상당히 높다(표 6-2-3). 이는 지표수 위주의 우리나라 수자원정책이 변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세계 각국의 1인당 물이용량으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는 심각한 물낭비 국가로 국민의 물절약에 대한 심각한 인식과 실천이 필요하다.

표 6-2-3. 세계 주요 국가의 용수에 대한 지표수 및 지하수 의존율(국가지하수정보센터).
국가통계연도수자원 이용량
(백만m3)
1인당이용량
(m3/인)
지하수 이용률
(%)
지표수 이용률
(%)
멕시코200677,3227403763
미국2000476,8001,6902476
한국200329,1636101387
뉴질랜드20063,9269502872
오스트리아20023,8164702872
덴마크2004680130973
프랑스200433,7155601981
독일200435,5574301783
룩셈부르크1999-1405248
슬로바키아20067631404852
스웨덴20042,6763002377
스위스20052,5073403268
터키200544,8496202674
영국200512,9902401783


    선진 외국의 경우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먹는 물에 대한 지하수 의존율(70~100%)은 매우 높다. 먹는 물 만큼은 지표수보다는 깨끗한 지하수를 공급한다는 것이 선진국의 물 정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흔히 샘물로 알려진 시판되는 병입수는 모두 암반 지하수이다. 국민의 지표수(수돗물) 수질에 대한 불신과 웰빙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서 먹는샘물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그림 6-2-5). 국내에서 시판되는 먹는샘물 브랜드(업체)수가 70개(삼다수, 아이시스, 석수 등)가 넘었으며 최근에는 멀리 외국의 병입수(에비앙, 피지수 등) 수입도 급증하고 있다(그림 6-2-6). 그 결과 500 mL 한병 물값(1800-7500원)이 휘발유값을 능가하는 고가 병입수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나친 먹는물 시장팽창은 난립에 따른 수질오염, 수량 고갈 및 지반침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또 한병의 물을 마시기 위해 지나치게 많은 화석연료가 소모(탄소발자국; carbon footprint)되어 지구온난화를 부채질할 수 있다.

그림 6-2-5. 국내 샘물시장(서울신문, 2007).


그림 6-2-6. 국내 시판중인 먹는샘물(병입수)(소비자시대, 2004).


    고급 물에 대한 욕구가 지나쳐 이제는 인간 발길이 닿지 않았던 지역(남북극, 빙하수, 알프스 만년설 등)의 물에 대한 판매로 까지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증진에 대한 특별한 효과를 기대하며 깊은 바닷물을 뽑아 화학처리를 한 고가의 해양심층수가 인기를 끌고 있다(그림 6-2-7).

그림 6-2-7. 국강원도 고성의 해양심층수 시설(야후).


    인구증가 및 산업발전에 따라 급증하는 물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수자원 확보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지하수 인공함양기술(ASR: artificial storage and recharge)의 그 하나인데 물수요가 적은 계절에 버려지는 빗물 등을 모아 지하로 침투시켜 저장하고 물이 필요한 시기에 뽑아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도에서 이와 같은 인공함양기술을 이용하여 다량의 빗물을 지하에 저장하고 있다(그림 6-2-8).
그림 6-2-8. 제주도 인공함양 개념(동아일보, 2010).


    이외에도 해안 근처에서 무위로 버려져 바다로 들어가는 지하수를 지하에 차수벽을 이용하여 인공적인 댐을 만들어 물을 저장 및 확보하는 지하댐 기술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그림 6-2-9). 이외에도 하천수의 나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강변여과 취수를 적용하는 사례도 발전된 형태의 수자원 이용 사례이다(그림 6-2-10).

그림 6-2-9. 지하댐의 모식도(한국농어촌공사).


그림 6-2-10. 강변여과 취수방식에 대한 모식도(아이메디투데이).


 
  6-3. 수자원의 오염에 계속
 
차례 | 제 1장 | 제 2장 | 제 3장 | 제 4장 | 제 5장 | 제 6장 | 제 7장 |
State
  • 현재 접속자 146 명
  • 오늘 방문자 617 명
  • 어제 방문자 1,083 명
  • 최대 방문자 15,487 명
  • 전체 방문자 3,084,33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