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rtH NET

차례 | 제 1장 | 제 2장 | 제 3장 | 제 4장 | 제 5장 | 제 6장 | 제 7장 |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 제 6장 수자원
 
  6-1. 수자원의 종류
  6-2. 수자원 개발과 이용
  6-3. 수자원의 오염
  6-4. 기후변화와 수자원
  6-보충 학습
  6-참고문헌

6-3. 수자원의 오염

6-4-1. 하천 오염

    하천수(지표수)는 오염에 매우 취약하다. 특히 한번 오염되면 지하수에 비해 이동속도가 매우 빨라 수 km~수백 km까지 확산되기도 한다. 흔히 하천 옆에 위치한 공장 등에서 나오는 오폐수와 가정의 생활하수가 가장 큰 오염 원인이라고 한다. 중국의 황하강은 어머니 강(母親河)이라 불리는 풍요와 범람의 상징이며 중국 문명의 발상지이지만 수많은 오염된 지류들이 황하로 합류하면서 어머니 강은 이제 심각한 중병을 앓고 있고, 수량이 부족해 오염 심화는 물론 아예 물길이 끊기는 현상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황하 수질 평가에 따르면(2004년 황하유역 수자원 공보) 황하의 반 이상이 심하게 오염되었고, 황하 강물의 3분의 2가 공업용수로도 쓰지 못할 만큼 오염이 심각한 상태로 나타났다(그림 6-3-1).

그림 6-3-1. 황하강 지류의 기름오염(국제방송).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낙동강의 수질오염은 매우 악명높다. 1991년 3월 구미공장에서 흘러나온 페놀원액이 낙동강에 유입돼 대구시내 수돗물에서 심한 악취가 나는 등 수계 내 천만명의 주민이 큰 불편을 겪었다. 이후에도 1994년 낙동강에서 벤젠과 톨루엔이 검출되고, 2004년 발암물질인 1,4-다이옥산, 2006년 독성물질 퍼클로레이드 등이 정수장에서 발견되는 등 끊임없이 수질오염에 시달렸으며 이로 인해 주민들은 공급 수돗물에 대한 극도의 불신을 가지게 되었다(그림 6-3-2).

그림 6-3-2. 2008년 3월 페놀사건 재발로 취수중단된 낙동강 .


6-4-2. 지하수 오염

    지하수의 오염은 지표수에 비하여 느리게 발생하지만 오염이 발견되면 이미 많은 시간이 결과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특히 지하수 오염의 경우 땅 밑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발견이 쉽지 않을뿐더러 오염을 치유하는데 천문학적인 비용과 오랜 기간이 소요된다.

    미국에서는 1970년대 중반 나이아가라 인근 마을에서 많은 주민과 아이들이 선천성 기형과 각종 질병으로 사망하였는데 이 원인이 화학회사가 불법으로 땅속에 유독성 화학물질을 러브커넬에 매립하였고 이것이 지표물질과 음용 지하수를 통해 사람의 몸 속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그림 6-3-3).

그림 6-3-3. 토양·지하수오염으로 죽음의 땅이 된 러브커넬지역(코네틱).


    1978년 8월 미국 언론에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지미 카터 대통령은 러브커넬을 연방 비상지역으로 선포하고 인근 주민을 이주시켰다. 조사 결과 벤젠 등 11가지 후보 발암물질에 의한 토양, 지하수, 실내 공기 오염이 확인되었다. 당국의 조사결과 이 지역 여성들의 유산율이 다른 지역보다 4배나 높았고, 1973년~1978년에 태어난 아이들 16명 가운데 9명이 정신박약이거나 심장, 신장 질환을 앓았다. 이 사건은 미국에서 유해산업폐기물 처리기금 관련법인 '슈퍼펀드법-Superfund 법(CERCLA)'을 재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러브커넬 지역은 세 차례에 걸쳐 총 2억 5천만 달러를 들여 복구를 시도했지만 아무도 살지 못하는 죽음의 도시가 되었다(그림 6-3-4).

그림 6-3-4. 토양지하수오염으로 주민완전 이주 및 출입금지(위키디피아).


    과거에는 눈에 보이는 대기, 지표수 위주의 환경관리가 주를 이루었으나 부동산과 수자원의 경제적 가치에 주목하면서 토양을 포함한 지하수오염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공공부지(철도정비창, 매립지 등), 군부대(미군부대) 등의 오염토양과 지하수에 대한 정화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면 지하수 오염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일반적으로 우리는 오염원을 일정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점오염원(point source)이라고 하고 넓은 지역에 불특정하게 나타나는 경우를 비점오염원(point source)이라고 한다.

    주요 지하수 오염원으로는 각종 유류 및 유해물질을 저장하는 지상(AST) 및 지하저장탱크(UST), 각종 매립지, 폐광산, 가정의 생활하수 및 도심의 각종 시설 등이 있다. 환경부 조사결과에 의하면 농촌지하수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오염물질은 질산성질소(NO3) 그리고 도심지역에서는 각종 세정제 및 세탁용제로 쓰이는 삼염화에틸렌(TCE)으로 알려져 있다(이진용·이강근, 2004). 특히 우리나라 전역에 방치되어있는 방치공(폐공)은 지하수 오염의 주요 원인의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그림 6-3-5).
그림 6-3-5. 방치공(폐공) 찾기 포스터(전남뉴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하수는 한번 오염되고 치유하는 것이 기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도 천문학적일뿐더러 돈을 들이더라도 완벽한 정화를 하기 어렵다. 미군부대에서 누출된 기름에 의한 서울 녹사평역 부근 지하수 오염은 최초 발견된 2001년 이후 8년이 지난 지금까지 수 십억원을 들여 정화를 하고 있지만 완전한 정화는 요원하다(그림 6-3-6).
그림 6-3-6. 서울 녹사평역 지하수 유류오염(프레시안).


이렇게 지하수 오염은 정화가 매우 어려우므로 상시적으로 오염감시(모니터링)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6-4-3. 해양 오염

    수자원으로서 해양의 오염도 최근에는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4월에 발생한 BP사의 석유 시추시설의 폭발사고로 해저의 대형 철제 파이프에 구멍이 생기면서 원유가 계속 유출되고 있다(그림 6-3-7). 원유유출량은 사고 발생 초기에는 하루 1,000배럴이었으나 계속 늘어나고 있다. 연방정부 조사단과 연구진은 15일 원유유출량이 하루 3만5,000~6만배럴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기름유출 사고인 1989년 알래스카 해역에서 발생한 엑손 발데즈호 기름 유출사건 당시의 25만7,000배럴을 훨씬 능가하는 엄청난 양이다. 유출된 기름띠는 루이지애나와 미시시피, 앨라배마 해안을 거쳐 펜사콜라 등 플로리다 서부해안에 까지 확산되고 있어 반경 약 320km 해역까지 퍼져나갔다고 한다. 칼 헨릭 스반베르 BP 회장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의 면담 후 기름오염에 따른 피해를 보상하기 위해 200억달러의 기금을 내놓는 한편, 올해 말까지 주주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 유출된 원유가 야생동물의 보고이며 해안 습지로 유명한 루이지애나 해안을 덮친데 이어 미시시피와 앨라배마 해안을 거쳐 플로리다 서부해안까지 위협하고 있다.

그림 6-3-7. BP의 멕시코만 원유유출(한국일보).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해양사고가 많았는데 2007년 태안 앞바다에서 선박충돌사고로 최악의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해안 생태계의 파괴가 극심하였다(그림 6-3-8).

그림 6-3-8. 태안 기름유출 피해(야후).


 
  6-4. 기후 변화와 수자원에 계속
 
차례 | 제 1장 | 제 2장 | 제 3장 | 제 4장 | 제 5장 | 제 6장 | 제 7장 |
State
  • 현재 접속자 62 명
  • 오늘 방문자 1,061 명
  • 어제 방문자 2,478 명
  • 최대 방문자 15,497 명
  • 전체 방문자 3,515,851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